I didn’t mean it, 말실수 수습에 꼭 필요한 이 표현의 진짜 뉘앙스

최종 수정일: 2025년 11월 18일

I didn’t mean it, 이 말은 드라마나 영화 같은 데서 정말 자주 들리는 표현 중 하나죠. 우리가 영어를 하다 보면 의도치 않게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오해를 살 때가 분명 생기는데요. 그럴 때 “아, 그런 뜻이 아니었어”라고 급하게 해명해야 하는 순간이 꼭 오더라고요. “I didn’t mean it.” 이 표현이 바로 그럴 때 쓰기 딱 좋은, 아주 유용한 말이에요. ‘mean’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다’라는 기본 뜻 말고도 ‘의도하다’라는 뜻으로 정말 많이 쓰이거든요. 오늘은 이 표현과 더불어 우리가 실수했거나 상대방을 언짢게 했을 때 알아두면 좋은 여러 가지 영어 표현들을 좀 자세히 들여다볼까 해요.

의도한 게 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I didn’t mean it”은 말 그대로 “나는 그것을 의도하지 않았다”는 뜻이에요. ‘intend’라는 단어와 거의 같다고 봐도 무방하죠.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친구 사이에, 혹은 연인 사이에 오해로 다툴 때 “I didn’t mean it!” 하고 외치는 장면이 꽤 자주 나와요. 그만큼 실생활에서 자주 쓰인다는 증거겠죠. “I didn’t mean to hurt your feelings.” (네 기분을 상하게 할 의도는 아니었어.) 또는 “I didn’t mean to embarrass you.” (널 민망하게 하려던 건 아니었어.)처럼 뒤에 ‘to’를 붙여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도한 게 아니었는지 설명할 수도 있어요.

상대방을 민망하게 만들었을 때

방금 ’embarrass’라는 단어가 나왔죠? 이것도 우리가 헷갈리기 쉬운 감정 동사 중 하나예요. ’embarrass’는 ‘누군가를 민망하게 만들다, 당황하게 하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거든요. 그래서 내가 민망함을 느낄 때는 “I’m embarrassed.” (나 민망해)라고 표현해야 해요. 주어가 사람이면 ’embarrassed’가 되는 거죠. “He was so embarrassed.” (그는 정말 민망해했다.) 처럼요.

반면에 어떤 상황이나 사건이 나를 민망하게 만들었을 때는 ’embarrassing’을 써요. “It was so embarrassing.” (그거 정말 민망한 일이었어.) 이건 ‘exciting’과 ‘excited’, ‘interesting’과 ‘interested’의 관계를 생각하면 쉬워요. “I’m interested.” (나는 관심이 있다.) “Something was exciting.” (무언가가 흥미진진했다.) 처럼 주체가 사람이냐 사물이냐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거죠. “It was very excited.”라고는 쓰지 않는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왠지 기분이 안 좋아 보일 때

상대방이 나 때문에 기분이 상한 것 같을 때 “Please don’t get upset with me.” (나한테 화내지 마.)라고 말할 수 있어요. 여기서 ‘upset’이라는 단어가 정말 중요해요. ‘be upset with somebody’라고 하면 ‘~에게 화가 나있다’, ‘삐져있다’는 상태를 나타내고, ‘get upset’은 ‘화가 나게 되다’는 변화를 나타내죠. “She’s still upset with me.” (그녀는 아직 나한테 삐져있어.) 이런 식으로요.

‘upset’은 단순히 ‘화남(anger)’뿐만 아니라 ‘실망(disappointment)’, ‘슬픔(sadness)’, ‘짜증남(annoyed)’까지, 총 네 가지의 부정적인 감정을 아우르는 아주 넓은 뜻을 가진 단어예요. 그래서 누군가 “He seemed really upset.”이라고 했다면, 그가 단순히 화가 났다기보다는 ‘기분이 언짢아 보였다’, ‘안 좋아 보였다’ 정도로 받아들이는 게 가장 자연스러워요.

그런 나쁜 뜻으로 말한 게 아닌데

때로는 “I didn’t mean it that way.” (그런 식으로 말한 거 아니야.) 또는 “I didn’t mean that in a bad way.” (그걸 나쁜 뜻으로 말한 게 아니야.)라고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친구의 옷차림이 너무 독특해서 “They’re just so unique.” (정말 독특하다.)라고 말했는데, 상대가 기분 나빠할 때 “아니, 나쁜 뜻으로 한 말 아니야”라고 덧붙이는 거죠.

또, “I didn’t mean to get you in trouble.” (너를 곤경에 빠뜨릴 의도는 아니었어.) 이런 표현도 알아두면 유용해요. ‘get 사람 in trouble’은 ‘누군가를 곤경에 처하게 하다’라는 뜻이거든요. 앞서 말한 “I didn’t mean to embarrass you.”와 비슷한 맥락에서 쓸 수 있겠죠? 만약 내 의도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고 싶다면 “I just meant…” (나는 단지 ~을 의미했을 뿐이야.)라고 말하면 돼요. “Really? I didn’t mean it like that. I just meant I’m worried about you.” (정말? 그런 뜻 아니었어. 그냥 네가 걱정돼서 그런 거지.) 처럼요. ‘다른 뜻은 없었다’는 뉘앙스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요.

가볍게 괜찮다고 말해주는 No worries

그럼 반대로, 누군가 나에게 사과했을 때 “괜찮아”라고 받아주는 표현도 알아봐야겠죠? “No worries.” 이게 정말 입에 붙이기 좋은 표현이에요. “No problem.”과 거의 같은 뜻인데, 좀 더 가벼운 대꾸성 말투라고 할까요? 예를 들어 친구가 “I’m going to be 20 minutes late. So sorry.” (나 20분 늦을 것 같아. 미안.)이라고 했을 때, “No worries. I’m at the bookstore. I’ll see you soon.” (괜찮아. 나 서점에 있어. 이따 봐.) 이렇게 쿨하게 받아줄 수 있죠.

심지어 부탁을 할 때도 “Can you help me move some stuff, tomorrow? No worries, if you can’t.” (내일 짐 옮기는 것 좀 도와줄 수 있어? (부담 갖지 마) 못해도 괜찮아.) 이런 식으로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주는 용도로도 쓰여요. ‘Don’t worry’와는 조금 느낌이 달라요. ‘Don’t worry’는 “Don’t worry. This type of cancer is treatable.” (걱정 마세요. 이 암은 치료 가능합니다.)처럼 좀 더 심각한 상황에서 상대방을 안심시킬 때 주로 쓰인다면, ‘No worries’는 훨씬 가볍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쓰인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뭔가 자꾸 신경 쓰이고 거슬릴 때

“It didn’t bother me.” (난 신경 안 쓰였어.) 이 표현도 사과에 대한 응답으로 쓸 수 있어요. ‘bother’라는 동사는 (정신적으로) ‘신경 쓰이게 하다’, ‘짜증나게 하다’, ‘거슬리게 만들다’는 뜻을 가지고 있거든요. “It didn’t bother me at all.” (전혀 신경 안 쓰였어.) 처럼요. 이 ‘bother’라는 단어는 일상에서 정말 자주 쓰여요. “Something is bothering me. But I’m not sure why.” (뭔가 계속 신경 쓰이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어.) 혹은 “Something really bothers me.” (정말 거슬리는 게 있어.) 처럼 쓸 수 있죠. 예를 들면, “Seeing dogs walk around the department store bothers me.” (백화점에서 강아지들이 돌아다니는 걸 보면 좀 신경 쓰여.) 같이 구체적인 상황을 묘사할 수도 있어요. ‘inconvenient(불편한)’보다 좀 더 감정적으로 거슬리는 느낌을 잘 전달하는 단어예요.

상대방 기분을 상하게 하는 말 offensive

대화 중에 상대방이 “Kelly, you look so tired today.” (켈리, 너 오늘 되게 피곤해 보인다.)라고 말했을 때, 듣는 사람 입장에선 “Dan, that’s quite offensive.” (댄, 그거 꽤 기분 나쁜 말이야.)라고 반응할 수 있어요. ‘offensive’는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이라는 뜻의 형용사예요. 동사 형태는 ‘offend’ (기분을 나쁘게 만들다)이고, 명사는 ‘offense’ (모욕, 불쾌한 행위)가 되죠.

No offense

이와 관련해서 “No offense.”라는 표현도 꼭 알아둬야 해요. 직설적인 말을 하기 전에 상대방이 기분 나쁘지 않게 미리 방어막을 치는 느낌이랄까요? “Don’t get me wrong.” (오해하지 말고 들어.)과 비슷한 뉘앙스죠. “You look terrible. No offense.” (너 진짜 끔찍해 보여. 기분 나쁘게 듣진 마.) 또는 “No offense, but American food is too salty for me.” (기분 나쁘게 듣진 마, 근데 미국 음식은 나한테 너무 짜.) 이런 식으로요. 참고로 ‘American food’, ‘Korean food’처럼 음식 종류를 총칭할 때는 s를 붙이지 않지만, 여러 종류의 미국 음식을 열거할 때는 ‘American foods’라고 쓸 수 있다는 것도 작은 팁이에요.

꽤 괜찮네 라고 말하고 싶다면

마지막으로 뉘앙스를 살려주는 부사 몇 가지만 짚고 넘어갈게요. ‘really’, ‘so’, ‘very’는 형용사를 아주 강하게 강조하는 표현이죠. “Your English pronunciation is really good.” (너 영어 발음 정말 좋다.) 처럼요. 그런데 ‘pretty’나 ‘quite’는 조금 달라요. “That’s quite good.”이라고 하면 “제법 괜찮네”, “꽤나 괜찮네” 정도의 느낌이고, “That’s pretty good.”은 그보다 톤이 조금 다운돼서 “꽤 괜찮네” 정도의 느낌을 줘요. ‘quite’가 ‘pretty’보다 조금 더 강조하는 느낌이랄까요? 이런 미묘한 차이를 알고 쓰면 영어가 훨씬 더 풍부해지는 것 같아요.

우리가 “아, 그런 뜻 아니었어!”라고 당황할 때 쓸 수 있는 “I didn’t mean it”부터 시작해서, 상대방의 기분을 살피고 내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는 다양한 표현들을 알아봤는데요. 오해 없는 즐거운 영어 대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